2023년 데이터바우처 길마기술 활용예시(가.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목표 1) 항공 이미지를 활용한 영상진단시스템 구축 - 당사 드론탑재 AI 영상검출장치 응용소프트웨어는 2023-03-06 | |||
작성자 | 2023-03-06 | ||
---|---|---|---|
첨부파일 | |||
조회 | 26 | ||
가.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목표 1) 항공 이미지를 활용한 영상진단시스템 구축 - 당사 드론탑재 AI 영상검출장치 응용소프트웨어는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OPENCV와 같은 영상처리 루틴에서 전처리를 수행하고 동시에 기계학습 검출을 수행 - 정사영 이미지에서 추출된 원본이미지 작업을 수행하고 또한 참조 마스크 이미지작업을 통해 마스킹작업을 수행하여 항공이미지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가공하여 학습에 이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제공함 2) 가공된 데이터는 가시광선데이터와 적외선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정해진 클래스별로 분류하도록 신경망모델을 학습시켜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segmentation 등으로 대상객체의 검출에 이용함 나. 데이터 활용 필요성 1) 태양광발전소나 대단위 농림작물에 대한 지상예찰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며, 항공예찰은 위치좌표를 갖는 자료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과 위성영상의 경우 관련기관의 협조와 갱신주기가 매우 길고 날씨의 영향으로 원하는 시기의 영상을 제때 확보하는데 제약사항이 있음. 따라서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위치좌표를 갖고 있는 정사영상을 확보하고 관심객체를 분류하는 것이 필요함 2) 현재 학습을 위해 항공촬영한 가시광선 이미지나 적외선 이미지를 원하는 검출방식에 따라 가공하여 시스템의 그래픽 사양/CPU에 맞는 해상도의 이미지등으로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할 수 있음 다. 가공서비스를 통한 데이터 활용 예시 1) 드론탑재 AI 검출 시스템을 활용한 조사의 효율성(수요기업 기발굴 기술) :기존의 무인비행체를 이용하여 소나무 재선충병에 대한 예찰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촬영, 정사영상제작, 영상분류, 현장조사의 과정을 거치게되며, 예를 들어 2000ha의 경우 소요되는 시간/인력은 수명이 수일에 걸쳐 진행되며 확진은 현장조사를 통해 시료를 채취해서 검사 후 진행됨. 현장조사원이 확인을 해야 작업이 종료되는 프로세스이므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의심 피해목을 특정하여 예찰인원들에게 통보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전체과정 중 중복되는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다고 판단됨 2) 태양광 패널의 고장검출에 적용(수요기업 기발굴 기술) : 드론에서 취득한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태양광패널의 불량 발생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지상서버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취득 영상의 한 프레임 단위로; 1) 태양광 모듈을 검출하고, 2) 각각의 모듈에 대하여 불량(hotspot) 개소를 검출함 3) 당사개발 멀티스펙트럴 카메라 제작 : 당사는 필요한 대역의 필터를 이용한 멀티스펙트럴 카메라를 제작하여 원하는 대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 취득에 활용함 4) 사중극자질량분석기(RGA)의 질량 데이터 분석에 적용 : 가스상의 질량분석을 위한 사중극자 질량분석기는 진공장치, 이온소스, 질량필터, RF 모듈, 제어시스템등으로 구성되며, 당사는 RF발생보드에 대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장비로 측정된 질량 스펙트럼의 분석에 AI를 적용하는 방법과 학습데이터 가공 결과물을 수요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제공할 수 있음. 5) DOAS 시스템 (미래수요기업발굴기술) : 광투과 방식을 이용한 차등흡수 분광기(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DOAS)는 광원의 빛을 대기 중에 통과시킨 후, 대기 중 존재하는 가스에 의해서 그 빛이 차등 흡수된 정도를 가지고 대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의 제품으로 공단, 굴뚝, 대도심의 대기유해물질(NOx, SOx, O3, HCHO)에 태양광이나 제논 광등의 인공광원을 조사하여 흡수스펙트럼을 측정/분석하여 유해물질의 농도를 계측/모니터링 하는 장비로 이용됨. 6) 플라즈마 고주파전원발생장치 (미래수요기업발굴기술) : CCP플라즈마 고주파 전원발생장치는 두개의 전극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기본적으로 하나의 전극은 그라운드(Ground)로 연결하며 다른 하나의 전극을 RF 파워 생성기(Radio Frequency powergenerator)에 연결하는 형태로 사용한다. 이러한 고주파 전원장치들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원발생을 담당하는 RF 전원 공급 장치(rfgenerator)와 발생된 전력을 부하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기(impedance matching network) 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임피던스 정합기는 공정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플라즈마의 임피던스에 따라 최적의 전력 전달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어되는 장치로서 사용하는 공정 장비의 전기적 특성에 맞게 제작된다. 7) 대추와인제조(미래수요기업발굴기술) : 2019년 충북농업기술원과 보은의 대추로 만드는 대추와인제조 관련 통상 실시권 계약 및 기술이전 받아 대추액상 색도분석(흡광분석; oceanopeics 스텍트로메터, 광원, S/W), pH/총산/휘발산 등 측정진행, 이전 받은 유산균 발효 실험 사전진행 8)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데이터 분석에 적용(미래수요기업발굴기술) :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블루투스 무선키보드에 인간의 감성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에 있으며 음성분석등의 기존기술 적용 및 키보드 행렬의 새로운 설계등을 적용하여 LSTM등의 AI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기쁨, 슬픔, 피로도 등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피드백해 줌. 9) 드론 및 로봇의 조종을 위한 햅틱 인터페이스 기술적용(미래수요기업발굴기술) : 드론 및 로봇의 조종을 위해 다양한 인간과 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이 연구/개발/적용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드론에 장착한 로봇팔의 원격지 제어를 위한 햅틱디바이스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보다 정확한 적용을 위해 pose estimation 등의 AI 기술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음. |
* 표시는 필수 입력 항목 입니다.
길마기술㈜(이하 “회사”)는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통신비밀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등 정보통신 서비스제공자가 준수하여야 할 관련 법규상의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준수하여, 관련 법령에 의거한 개인정보 취급방침을 정하여 이용자 권익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개인정보 취급방침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본 홈페이지에서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 2016. 10. 31
정보통신망법 제 50조의 2(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